티스토리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전력 공급 차질없이 준비중이라는 산업부 본문
-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과 함께 초기 전력수요에 대비하여 발전력 건설 검토 -
정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안정적 전력공급 방안을 차질 없이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① 발전력을 신설하는 한편 ② 장거리 송전망도 보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23. 7. 7.(금)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는데,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진행된 이 날 회의에서 산업부는 기존 수요에 더하여 신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29년부터 추가로 필요한 전력의 공급방안에 대한 준비 상황을 공유하고 함께 참석한 국토부, 용인시, 한전, LH,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습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과 200여 개의 반도체 팹리스·소재·부품·장비·기업들이 순차적으로 들어설 예정이며... 이에 따라, 산단 조성과 기업투자가 마무리되는 '50년에는 10GW 이상의 전력수요가 예상되는데, 이는 현재 수도권 전력수요(수도권 전력수요 39.9GW(역대 최대 전력수요가 발생했던 시점 기준, ‘22.12.23일))의 약 1/4에 달한다고 합니다.
송전망 보강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산단 조성 초기에 필요한 전력을 신속히 공급하기 위한 발전력을 우선 신설하고, 이후 장거리 송전망을 보강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산업부는 지난 3월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계획이 발표된 이후, 4월부터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전담반(TF)"(산업부 산업정책실장·에너지정책실장 공동주재, 한전‧거래소‧학계‧연구계 등 전문가 참여)을 구성하여 클러스터 전력공급 방안을 마련 중이며,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안정적 전력공급은 반도체 클러스터 성공에 핵심 요소”라고 강조하고, “세부적인 검토를 거쳐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이행안(로드맵)」을 조기에 발표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energy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원전설비 수출 5조원 달성을 위한 박차 (0) | 2023.07.16 |
---|---|
2023년 7월 12일부터 TV 수신료가 전기요금에서 분리돼 고지‧징수 (0) | 2023.07.15 |
산업부, 급변하는 전력여건에 대응하여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조기 착수키로 (0) | 2023.07.14 |
전력시스템 여건 변화에 대응한 전력 공급능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산업부 (0) | 2023.07.13 |
전기안전관리에 디지털 기술 접목 (0) | 2023.07.11 |
특정 에너지원에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있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한다는 정부 설명 (0) | 2023.07.10 |
차량용 액화수소 저장시스템 실증은 국내 최초 (0) | 2023.07.09 |
시민들과 함께하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 (0) | 2023.07.08 |